본문 바로가기
온라인MD

판매되는 상품의 특징

by sinsunb 2023. 1. 25.

팔리는 제품.
다시 말해 사고 싶은 제품은 그것들 만의 특징을 가진다.

시장에 깔려있는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품들의 이유.
판매되는 상품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제품
"정직함은 배신하지 않는다"
맛있는 밥, 예쁜 옷이 사람을 모으는 것처럼 좋은 제품은 입소문과 매출을 만든다.
중요한 건 '좋은'이란 기준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다르단 점이다.

흔히들 하는 실수가 자신의 기준에 맞춰 좋음을 정의하곤 한다.
50%보습 효과의 경쟁사 제품이 있다면, 우리 제품은 60% 보습 효과가 있으니 고객들이 우리 것을 사겠지 하는 식이다.
하지만 고객들에게는 50% 정도의 보습이라면 이미 만족스러울수도 있다.
오히려 발림성이나 흡수성 등이 개선된 제품을 원할 수도 있고, 유지력이 좋은 제품을 원할 수도 있다.

시장에서 제품의 장점은 고객이 만드는 것이기에, 불특정 다수인 그리고 시시때때로 변하는 그들의 니즈를 계속해서 주시해야 한다.

2.브랜드
모두 비슷비슷한 스펙의 제품이 즐비한 시장이라면 브랜드가 차이를 만든다.

특히나 고가품일수록 브랜드의 힘은 더 커지는데, 과시욕이나 '무언가 다르겠지'하는 근거없는 믿음 등이 이유일지라도 판매자는 이러한 고객의 습성을 이해하고 이용해야 한다.

브랜드는 한 순간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지만, 한 순간에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첫 제품부터 브랜드의 큰 방향성을 염두해 두고 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장애인들을 의무 고용하고, 친환경적인 패키지와 포장재를 사용하며, 실종 아동 포스터를 활용해 박스테이프를 만드는 모 브랜드는 이러한 디테일한 요소가 모여 '착한 기업'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브랜드를 만드는 데 시간이 필요하긴 하지만, 시간이 브랜드를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3. 가격
카테고리마다 차이가 크지만 가격 역시 구매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제품 스펙이 비슷하고 민감하지 않는 품목에서는 경쟁사보다 저렴한 가격, 시장 평균 대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 매력적일 수 있다.

하지만 저가만을 장점으로 시장에 진입했을 때는, 타 경쟁사의 가격 인하에 대응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마지노선의 이익률로 시장에 진입했지만, 모두가 인하하며 우리 제품이 이점을 잃었을 때 다시 장점을 일으킬 만큼 가격적 추가 이점을 줄 수 없다면, 단기성 매출 루트에 그치지 때문이다.

4. 마케팅 (노출)
비슷한 브랜드 인지도, 비슷한 제품, 비슷한 가격이 즐비한 시장이라면 마케팅이 파훼법이 될 수 있다.

많이 보이는 제품, 자꾸 눈에 스치는 것들은 무의식적으로 친숙함과 신뢰도를 준다.

브랜드들이 옥외광고나 버스,택시 광고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예를 들어 처음 보는 제품이라도 네이버 메인 배너에 며칠씩 걸려있다면 "요즘 유행하는 제품인가봐"하는 마음이 생긴다.

트레이닝팬츠, 더마, 비인기 가전 등 시장이 작거나 정체된 곳에서는 마케팅으로 만들어진 고객과의 신뢰도가 입소문을 만들고 시장 선점제품을 결정한다.

네이버 쇼핑에서 순위를 높게 노출시키려는 것도 같은 이유다.

"모든 제품이 제품,브랜드,가격,노출의 장점을 가질 수는 없다"

위 요소들을 모두 가지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제품의 방향성은 그 중에 어느 곳으로 갈 지가 중요하다.

방향성을 잡기에 '나의 장점'도 분명 중요한 고려 요소지만 '타인의 장점이 아닌 것'이 무엇인지 먼저 확인하고, 시장의 몇 년간 추세를 수집해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