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MD

NB PB MPB 상품에 대해 알아보자

by sinsunb 2023. 1. 29.

'상품권의 주체'로 구분되는 상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1. NB 상품 (national brand)

"제조업체가 상품권을 가진 제품"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상품 형태로 제조업체가 만들어 판매하는 제품을 뜻한다.

여기서 말하는 '제조업체'는 제품의 판매권을 가진 브랜드사를 말하는데, 과거의 시장은 제조 후 판매까지 하나의 사업체로 이루어진 구조였다.

하지만 지금은 외부 업체에 위탁 생산을 요청한 후 판매하는 브랜드사도 많기 때문에, 브랜드사가 상품권을 가지고 있는 제품은 NB상품으로 구분된다.

[장점]
- 브랜드사가 주체적으로 판매 루트를 정할 수 있다.
- 여러 유통판매업체(채널)를 통한 판매가 가능하다. (판매 시장이 크다)

[단점]
- 많은 홍보 비용이 필요하다.
- 유통 판매에 대한 수수료가 부과된다.

2. PB 상품 (private brand)

"유통업체가 상품권을 가진 제품"

온라인 쇼핑몰이나 슈퍼마켓, 백화점 등의 유통업체에서 직접 개발하여 판매하는 제품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GS25의 '오모리김치찌개라면', 롯데마트의 '통큰치킨' 등이 있다.
대기업의 공격적인 투자의 경우 쿠팡의 '탐사', 이마트의 '노브랜드' 같은 PB브랜드로 진행되기도 한다.

PB상품의 시작은 '유통 단계를 줄여 NB상품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 우위를 점한다' 라는 취지였다.

이런 전략으로 성공한 상품도 있지만 카테고리에 따라 가격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에, 현재는 '우리 매장에서만 살 수 있는 유니크한 제품' 이라는 새로운 관점이 PB상품의 새로운 트랜드가 되는 추세다.

[장점]
- 유통비가 절감되어 판매가를 낮게 책정할 수 있다.
- 유통채널과 동반 성장이 가능하다. (EX, 통큰치킨 따라 롯데마트 인지도 및 이미지 향상)
- 홍보 비용이 감소한다.

[단점]
- 판매 부진 시 유통업체 이미지가 하락할 수 있다.
- 외부 채널에 판매할 수 없기에 홍보 루트가 한정적이다.
- 시장 전체의 관점에서 영세 사업자의 자리가 없어진다. (유통 채널은 거대 자본 기업이기 때문)

3. MPB 상품 (manufacturing private brand)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공동 상품권을 가진 제품"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함께 개발하여 판매하는 제품을 뜻한다.
MPB 상품을 이해하기 위해 한 가지 가상의 예시를 읽어보자.


A라는 과일음료 브랜드, B라는 오픈마켓 채널이 있다고 하자.

A 브랜드는 자사의 여러 제품들을 각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하며 매출을 일으키고 있다.

A브랜드는 요즘 고민이 있는데, 여러 채널에서 판매하다보니 채널간 가격 경쟁이 심해져 제품의 판매가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원래 3,000원에 판매했던 C오렌지 음료는 2,000원까지 시장가가 꺾이게 되었으며, 그 이상의 금액으로는 채널과 협상하기 힘든 단계까지 도달했다.

그렇다고 이 제품을 놓기에는 매출에 큰 타격이 있을 우려가 예상된다.

이 때, B 오픈마켓 채널이 A브랜드에 한 가지 제안을 한다.

"우리 채널과 함께 C오렌지 음료의 리뉴얼 버젼을 제작해보면 어떨까요? 대신 판매는 우리 B 채널에서만 진행하는 조건으로"


제조업체(A브랜드)의 입장에서는 타 채널의 가격 경쟁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B채널을 통해 홍보가 될테니 적은 비용으로 마케팅 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매출이 저조하더라도 B채널과의 공동분담이기 때문에 위험을 적게 감수할 수 있다.

유통업쳬(B채널)의 입장에서도 이미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을 독점 판매할 수 있으며, C제품에 적합한 A브랜드의 판매 전략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기에 나쁘지 않은 기회가 된다. PB제품의 이슈성을 몰고 B채널 자체 유입이 높아지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만들어진 것이 MPB 상품이다.

NB와 PB의 장점을 적절히 모은 형태이며, 판매가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모두 윈윈할 수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 판매가 부진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영세한 제조업체가 판매 과실을 떠안게 될 가능성이 있고, 초기 판매가 어느 정도 성공하더라도 홍보 채널의 한계로 인해 장기적인 성공 제품으로 시장에 안착하기가 어렵다.